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실업급여 조건 6개월? 비자발적 퇴사만으로는 부족합니다

by 풍요하다는것 2025. 8. 25.
반응형

실업급여 조건 6개월

퇴사했다고 다 실업급여받는 건 아닙니다.
“6개월 넘게 다녔는데도 못 받는다고요?”
네, 이런 경우 실제로 많습니다.

실업급여의 6개월 기준은 ‘달력 날짜’가 아니라 ‘유급 근무일수’라는 것을요.

그래서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
“실업급여 조건 6개월”의 진짜 의미와 계산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1. 실업급여, 모든 퇴사자가 받을 수 있을까?

정답부터 말하자면, 아니요.

실업급여 조건 6개월 수급 요건은 딱 두 가지입니다.

  1. 비자발적 퇴사일 것 (예: 계약만료, 권고사직 등)
  2.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이상일 것

실업급여 조건 6개월

여기서 ‘피보험단위기간’ = 고용보험에 가입한 날이 아니라, 실제 유급일수예요.
즉, 실제로 돈 받고 일한 날 기준으로 180일 이상이어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2. 달력상 6개월 근무? 이걸로는 부족합니다

예를 들어,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근무한 사람을 가정해 볼게요.
이 기간은 달력상 정확히 6개월 = 약 181일입니다.

하지만 주 5일 근무자라면?

  • 주 5일 소정근무일(월~금) + 유급 주휴일(일요일) → 주 6일 유급일
  • 토요일은 무급일(대부분 회사 기준)
  • 한 달 기준 유급일 수 = 약 26일
  • 26일 × 6개월 = 156일

근무일 포함, 제외

👉 즉, 실업급여 조건 6개월 수급 기준인 180일에 못 미치게 됩니다!

3. 피보험단위기간, 이렇게 계산하세요

기준은 단순합니다.

  •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소정근로일(일하는 날)
  • 주휴일, 공휴일 등 유급으로 처리되는 휴일
    → 이 둘을 유급일수로 합산합니다.

 

반면 다음은 제외합니다.

  • 무급휴일(예: 토요일)
  • 육아휴직 등 임금이 없는 휴직 기간
  • 무단결근, 노사 합의 없는 비출근일 등

4. 근무 형태에 따른 예시 정리

근무형태 유급일 계산 실업급여 조건 만족 시점
주 5일 근무 26일/월 7개월 근무 시 가능 (26×7 = 182)
주 6일 근무 30일/월 6개월 근무로도 가능 (30×6 = 180)
주 4일 근무 계약서+유급휴일 기준 합산 필요 개인별 상이

📌 핵심은 "유급일수 180일 이상"이라는 점!

5. 너무 어렵다면? 계산기로 확인하세요!

직접 계산하기 복잡하다면, 사람인·잡코리아에서 제공하는 실업급여 계산기를 활용해 보세요.

  • 입력 항목: 생년월일, 재직기간, 월급여
  • 계산 결과: 피보험단위기간, 예상 수급 가능 여부

👉 실제로 수급 가능한지 몇 초 만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👉 실업급여 계산기 바로가기

6. 마무리 요약

실업급여 6개월 기준은
✅ 단순 달력 날짜도 아니고
✅ 고용보험 가입일수도 아닙니다.

→ 실제로 급여가 지급된 ‘유급일수 기준’입니다.
주 5일 근무자라면 최소 7개월은 채워야 조건이 됩니다.
이 점 꼭 기억해 주세요.

 

반응형